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존 스토트12

마가복음 15:24-32 | 군대에서의 만나 작성: 2008.10.16.(목) 새벽 정리: 2024.03.03.(일) 마가복음 15:24-32 십자가에 못 박고 그 옷을 나눌새 누가 어느 것을 가질까 하여 제비를 뽑더라 때가 제삼시가 되어 십자가에 못 박으니라 그 위에 있는 죄패에 유대인의 왕이라 썼고 강도 둘을 예수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으니 하나는 그의 우편에, 하나는 좌편에 있더라 (없음) 지나가는 자들은 자기 머리를 흔들며 예수를 모욕하여 이르되 아하 성전을 헐고 사흘에 짓는다는 자여 네가 너를 구원하여 십자가에서 내려오라 하고 그와 같이 대제사장들도 서기관들과 함께 희롱하며 서로 말하되 그가 남은 구원하였으되 자기는 구원할 수 없도다 이스라엘의 왕 그리스도가 지금 십자가에서 내려와 우리가 보고 믿게 할지어다 하며 함께 십자가에 못 박힌 자.. 2024. 3. 3.
시편 67:1-7 | 선교의 주체 작성: 2008.09.05.-06.(금-토) 정리: 2024.01.17.(수) 시편 67:1-7 하나님은 우리에게 은혜를 베푸사 복을 주시고 그의 얼굴 빛을 우리에게 비추사 (셀라) 주의 도를 땅 위에, 주의 구원을 모든 나라에게 알리소서 하나님이여 민족들이 주를 찬송하게 하시며 모든 민족들이 주를 찬송하게 하소서 온 백성은 기쁘고 즐겁게 노래할지니 주는 민족들을 공평히 심판하시며 땅 위의 나라들을 다스리실 것임이니이다 (셀라) 하나님이여 민족들이 주를 찬송하게 하시며 모든 민족으로 주를 찬송하게 하소서 땅이 그의 소산을 내어 주었으니 하나님 곧 우리 하나님이 우리에게 복을 주시리로다 하나님이 우리에게 복을 주시리니 땅의 모든 끝이 하나님을 경외하리로다 (개역개정) May God be gracious t.. 2024. 1. 17.
인생의 목적 | 그리스도의 십자가(10) 삶의 목적 본문 전체적인 맥락에서 크게 중요하지 않은 부분이었을 수도 있지만, 나는 이 부분에 시선이 머물렀다. “……그렇게 구원을 얻었으므로 그들은 특별히 피 값으로 그들을 사신 여호와께 속한 것이며, 따라서 여호와를 섬기는 일에 바쳐져야 했다.”(264쪽) 여기서 내가 누구인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를 다시금 짚어봤다. 오래 잊고 있던, 또는 고의든 아니든 외면해왔던 진실을 마주한 듯하다. 너무나 단순하고 당연한 말이지만, 나는 내 것이 아니었다. 내 인생을 내가 마음대로 살아도 되는 것이 아니었다. 대학 시절 많이 불렀던 란 찬양에서 이런 가사가 나온다. “무얼 위해 사는가? 누굴 위해 사는가? 오직 우리 구주 예수시라” 질문을 던지고 답을 하며 보다 확실한 고백을 하는 내용이다. 하나님께서는 이 .. 2022. 9. 9.
하나님과 맞먹는 은혜 | 그리스도의 십자가(9) 수단이 아닌 목적이신 하나님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그림자인 구약의 제사는 기존 고대 이방인들의 제사와 달랐다. 이방인들의 제사는, 명목상 신과 소통한다고 하지만, 중심은 자신을 위한 것이었다. 내가 복을 받으려고, 내가 벌을 받지 않으려는 등의 이유 때문이다. 하지만 ‘하나님의 승리자’ 이스라엘의 제사는 양식과 절기부터 하나님께서 제정하신 것이며, 하나님과 교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드린다. 김동문 선교사님은 진설병을 놓는 것이 하나님과 인간이 밥상을 가운데 두고 ‘마주 먹는’, 즉 ‘맞먹는’ 관계가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책은 가인의 제사가 창조주께서 주신 선물에 대한 감사의 표시가 아니라 자기가 드리는 선물인 것처럼 왜곡해서 드렸을 것이라고 했다. 여기서 이방의 제사와 여호와 제사의 차이가 또 드.. 2022. 9.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