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군대묵상록530 2008.12.27. 자족과 갈망 자족은 수중에 있는 것으로의 자족이다. 보유한 수량과 자족은 어떠한 비례 관계도 성립해서는 안 된다. 그리고 언제든 하나님께 드리거나 이웃에게 나눌 수 있으며, 그리하여도 자족할 줄 알아야 한다. 갈망은 하나님에의 갈망이다. 그분의 나라와, 은혜와, 얼굴과, 음성 듣기에의 갈망이다. 그분만이 주실 상급에의 갈망이며 그분을 닮고자 하는 데의 갈망이다. 이 갈망에는 자족이 없다. 여기서 자족한다는 건 무한히 주실 수 있는 하나님을 스스로 제한하는 행위이며, 곧 안주로 빠진다. 이 갈망은 더, 더를 외치게 하며 그럴 때마다 하나님은 더욱 기뻐하여 부어주신다. 그 나라와 의를 갈망할 때 나머지 필요한 것들도 주님께서 필요에 맞게 알아서 공급하신다. 단 주의하라. 자족의 대상과 갈망의 대상을 교환하지 말라. 2023. 3. 20. 2008.12.27. 새벽 기도 5 예전에 이런 말을 듣고 즐겨 썼던 표현이 있다. 십자가는 나를 위한 것이지만 이 세상을 위한 것이기도 하다고. 내가 이 ‘문장’에 매료되어 있을 때, 나는 ‘나를 위한 십자가’를 잊어만 갔다. 그래서 오늘만큼은 문장 속 말의 순서를 바라보고자 한다. 십자가는 온 세상을 위한 것이지만, 나 한 사람만을 위한 것이기도 하다. 이 문장을 대할 때는 이기심이 빠져야 한다. 십자가는 온 세상의 각 사람을 위해 세워졌다. ‘나’라는 존재를 무리‧군중 속에 묶어버리지 않고, 절대로 넘어가는 법 없이 찾아내어 은혜를 부어주신다. 이는 다른 사람에게도 마찬가지겠지만, 나를 사랑하는 십자가의 그리스도가 있다는 사실은 얼마나 감격스러운지! 2023. 3. 19. 2008.12.27. 새벽 기도 4 ‘살아남기’ 위해서는, 모순되게 들리겠지만 나를 죽여야 한다. 그래야 그리스도의 생명으로 살 수 있다. 2023. 3. 17. 2008.12.27. 새벽 기도 3 새벽 기도 본문 중 11월 25일에 적었던 내용과 연결되는 부분이 있었다. 사람들이 성전을 짓는데, 한 손으론 기구를 잡고 다른 손으론 병장기를 잡아 늘 방비를 단단히 했다. 느헤미야 4장 17절이었다. 2023. 3. 16. 이전 1 ··· 110 111 112 113 114 115 116 ··· 133 다음 반응형